top of page

About

JEON CHANGHYUN

 

Art Fair History

2022 Galleries Art Fair, Seoul

2021 KIAF,  Seoul

2021 BAMA in GRAND JOSUN, Busan

2021 BAMA, Busan

2021  Galleries Art Fair 2021, Seoul

2020 KIAF, OVR(Online Viewing Room)

2020 BAMA, Busan

2019  DAEGU ART FAIR, Daegu

2019  PLAS, Seoul

2019  ART BUSAN, Busan

2018  PLAS, Seoul

2018  ART BUSAN, Busan

2018  BAMA, Busan

2017  SEOUL ART SHOW, Seoul

2017  DAEGU ART FAIR, Daegu

2017  ART GWANGJU, Gwangju

2017  ART BUSAN, Busan

2017  BAMA, Busan

2016  DAEGU ART FAIR, Daegu

Solo Show on select

2018  Ocean Gallery, Gyeongju, Korea

2017  Gallery Dandy, Seoul, Korea

2016  Ocean Gallery, Busan, Korea

2014  Gana Art Space, Seoul, Korea

2011  Gallery Pakyoung, Paju, Korea

2009  J-One Gallery, Daegu, Korea  

Group Shows on select 

2022 Pottery without glaze, trace of fire, Yeongam Pottery Museum
2020 Artist of the month-December, Pottery Meme, Seoul

2018 The Moon in the Yanggu, Yanggu Porcelain Museum

2018  Art Posters for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MMCA, Seoul

2017  CICA 37, Museu de Ceràmica de l’Alcora, Castellón, Spain

2015  Keramik & Tee, Keramik Museum Westerwald, Höhr-Grenzhausen, Germany

2013  Narrative Vessels from Korea, Vessels Gallery, Boston, USA

2010  Fantastic World, Clayarch Gimhae Museum, Gimhae, Korea

Award & Honor on select

2017  Selected 'Open Call for 2018 PyeongChang Olympic Art Posters'

2013  Grand Prize, Gyeongsangbuk-do Crafts & Arts prize

2012  Special Prize, Korea Teabowl Competition

2011  Selected 'Open Call for New Artist', Gallery Pakyoung

2010  Standing on Permanent Exhibition, Korean Cultural Service(UK, Vietnam) & Korea

            Consulate General in Hong Kong

2010  Bronz Prize, Daegu Crafts & Arts prize

2009  A Winner of the Chairman Prize, Korean Crafts Council, Korea Crafts and Arts

             Priz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2007  Wining the Prize, Daegu Crafts Prize, Daegu Art Center

전창현 全昶賢

Art Fair History

2022  화랑미술제, 서울
2021  화랑미술제, 서울

2021 KIAF,  서울

2021 BAMA in GRAND JOSUN, 부산

2021 BAMA, 부산

2021  화랑미술제, 서울

2020 KIAF, OVR(Online Viewing Room)

2020 BAMA, 부산

2019 대구아트페어, 대구

2019 PLAS, 서울

2019 아트부산, 부산

2018 PLAS, 서울

2018 아트부산, 부산

2018 BAMA, 부산

2017 서울아트쇼, 서울

2017 대구아트페어, 대구

2017 아트광주, 광주

2017 아트부산, 부산

2017 BAMA, 부산

2016 대구아트페어, 대구

Solo Show on select

2018 오션갤러리, 경주

2017 단디갤러리, 서울

2016 오션갤러리, 부산

2014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2011 갤러리박영, 파주

2009 제이원갤러리, 대구


Group Shows on select  

2022 무유도기 불의 흔적, 영암도기박물관

2020 이달의 작가, 포터리밈, 서울

2018 양구에 뜬 달 그리고 변주, 양구백자박물관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7 CICA 37, l’Alcora 도자박물관, 카스테욘, 스페인

2015 Keramik & Tee, 베스터발트 도자박물관, 훼어그렌츠하우젠, 독일

2013 Narrative Vessels from Korea, Vessels Gallery, 보스턴, 미국

2010 판타스틱월드전,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Award & Honor on select

2017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 공모 당선

2013 경상북도 공예품대전 대상
2012 전국찻사발공모대전 특별상
2011 갤러리박영 신진작가 공모 당선
2010 해외주재 문화원(베트남.영국), 재외공관(홍콩영사관) 상설전시작품 선정
2009 대한민국 공예품대전 한국공예가협회 이사장상

A Preface to Jeon Changhyun’s Ceramics – An Art of Peace and Rest

 

        Ceramics is an art that contains a message of peace. To understand this, let us begin by asking what ceramic art is; and, of course, there may be a number of different answers to this question. The artist or the viewer may respond in an abstract fashion answering to the command of an inner mental image; or one may think of a more semantic definition that looks directly to the objective form and elementary characteristics attached to the word 'ceramics.' There remains, however, one undeniable fact: that ceramics is an art of earth and fir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eramic-making inevitably involves handling earth and fire; it is a process of making shapes out of earth to bake them in fire. Earth as a key component of our environment, is necessary to life. Fire, on the other hand, has often symbolized fury, violence, anger and war. Ceramics is thus an art that shapes the life in the earth and controls the fury of the fire. If the potter fails to control the fire, life will extinguish in a second; he has kept a complete control of the fire by keeping locked in the kiln. And in this process of controlling anger and violence, we see ceramics' essential nature of peace and serenity.

 

        As mentioned earlier, there can be no ceramics without earth and fire. A potter is someone that plays with earth and fire. Playing with earth and fire, however, is a characterically childish activity through which children come to form a perception of the world. This will seem evident when we look back on our own childhood; we have all played around with earth and fire in some period of our childhood. Even without the help of Gaston Bachelard who demonstrated the imaginative capacitated of the four basic elements, we experienced the world in its elements and its original form by playing with earth and watching a fire burning. Ceramics, then, is an evolved form of the pure and innocent children's play untainted by any distortion. Imbibed with the innocent playfulness of children, there can be no room for strife or conflict. This is one more reason why I affirm that ceramics carries a message of peace, and Jeon is a highly intelligent artist who intuitively understands this.

 

             Ceramics is a work of art that has a message of peace. To fully explain this, I want to ask you a question. “What is ceramics?” There is bound to be many different answers to this question. That answer, depending on the thought and beliefs of the potter himself or of the viewer, may become abstract. On the contrary, a word like ceramics can also become stiff dictionary word through looking at its structure objectively and through its distinctive quality. However, you cannot deny the fact that ceramics is an art of clay and fir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eramics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handling fire and clay. Ceramics is baking clay that has been shaped into a certain structure. Because clay makes up the earth, it is necessary for life. On the other hand, fire is commonly connected with fury, anger and war. But, ceramics is a work that involves shaping clay that is so crucial to making life and managing fire. If one cannot control fire, life can disappear in a second. A potter must completely control fire by keeping it locked in the kiln. To control wrath, fury and anger, wouldn’t it mean peace and serenity?

 

             As mentioned before, ceramics cannot exist without clay and fire. A potter plays around with clay and fire. However, playing with fire and clay can be perceived as child’s play of recognizing the world. You can understand this easily when you look back at your own childhood. We all have had times when we enjoyed playing with clay and fire. Without quoting Gaston Bachelard, a philosopher who suggested that the world consists of four elements, we have felt an original part of the world through playing with clay and fire. We can distinguish ceramics as the evolution of the purity of the child’s mind without distortion. Because ceramics is embedded with the original form of innocence of childhood, war and fighting definitely cannot interfere with it. Therefore, this is another reason why I have said that there is a message of peace in ceramics. By innately knowing this, Jeon Changhyun is a bright and intelligent artist.

 

           Now, let’s look at Jeon Changhyun’s works. His works minutely and specifically reveal a child’s innocent playfulness. Whenever anyone looks at his work, no matter who it is, he or she tends to have a smile on his or her face. Naturally, that smile comes from the humor and wit of the peculiar characteristic of the work. Moreover, humor and wit is, unarguably, a universal language. The functioning method or principal of art has been a topic of many debates. However, it is a longtime established belief that art has the power to purify sadness and heal scars. Furthermore, it is an undeniable principle that art calms and conquers the stormy waves of wrath and sadness. Instead, it brings peace and rest. Jeon Changhyun fully understands this and it is reflected in his pieces. The restriction of a uniformed and traditional structure along with his wit and humor in his work differentiates Jeon from the other artists. In short, if other works of ceramics give a solemn strain to the viewer, Jeon’s works gives an answer to boldly solve the tension with peace and rest.

 

            In Jeon’s works, horses and tigers appear frequently. The horse and the tiger have had a close relation with humans. Horses have been useful to people’s lives as useful, domesticated animals. Tigers have been represented as a fierce god that protects villages. People have kept a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igers but made a village-oriented culture. Jeon plainly drew in these two seemingly contrasting animals into his works and creatively dismantled the solemnity of pottery. Horses and tigers in his works are caricatured. They show simplicity such as the clay dolls of the Shilla dynasty. It is as if children have,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beauty, rubbed and molded the clay and created animal figures. Jeon displays this in his art. The surprising thing is that these animals are either biting or tearing off the mouth pieces of the ceramic jar. An animal that bites off the soil, how gentle it is! How funny! We can only but smile at such an innocent scene. The happiness and peace that we want so badly, in reality, is already here as we smile at Jeon’s works.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observe the true meaning of biting or eating soil. Before, it was mentioned that it was one of the prototypes that the world was made of clay. According to common Shamanist beliefs, to eat dirt is an act to purify oneself to accept the world. A mysterious girl named Rebecca in the book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by a Nobel Laureate Gabriel G. Marquez also frequently ate soil. This particular act is understood as a symbolic act of self-sacrificing devotion which seeks to pay a ransom for the sin of the world by purifying herself and embracing the world. Given this context, a tiger of Jeon eating soil may represent the artist’s unconscious desire for redemption of the world from conflict and struggle and the peace that will follow. An artist’s imagination of a beast eating soil, and his strategy to vividly portray it in a comical way, are what we can see and what gives us peace. Thus, his works touch our perception and emotion. And this is the solid reason why we should appreciate his work not just as craft work, but fine art.

 

           The only country divided in the world by ideological differences,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under constant threat of war. Both Koreas confront each other with the military and weapons on each side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In this time, it is a blessing to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Jeon’s work of peace, rest and humor. Jeon’s works in front of us are evidences that tell us that his nature is closely connected to peace and rest. We are reminded again how human nature originally desires peace rather than conflict and struggles through these wonderful evidences. It is something to be grateful for.

 

 

By Do-eon Kim a Korean novelist

(Translated by Shin-hyun Yeom)

전창현의 도예작품에 부쳐 - 평화와 안식의 예술

 

도예는 평화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예술이다. 이 말을 설명하기 위해 일단, “도예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물음에는 당연히 여러 가지 대답이 있을 수 있다. 그 대답은 생산자 혹은 감상자의 내면에 비친 심상의 명령에 따른 매우 추상적인 것이 될 수도 있고 다만 ‘도예’라는 말이 갖는 객관적 형태와 요소적 특성을 적시하는 사전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한 한 가지는, 도예는 ‘흙’과 ‘불’의 예술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예의 과정은 필연적으로 흙과 불을 만지는 과정을 수반한다. 도예는 흙으로 형태를 빚어 불로 굽는 것이다. 흙은 대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명의 필수적인 요소다. 반면 불은 흔히 분노나 격정, 화나 전쟁의 은유로 사용된다. 그런데 도예는 생명을 구성하는 요소인 흙을 만지고 불을 다스리는 행위다. 불을 다스리지 못하면 생명은 물거품이 된다. 도예가는 불을 가마에 가두고 완벽하게 통제해야 한다. 분노와 격정, 화를 다스린다는 것, 그것은 곧 평화와 평정을 의미하는 게 아니겠는가.

 

앞서 얘기했듯이 흙과 불이 없으면 도예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예가란 흙과 불을 가지고 노는 사람이다. 그런데, 흙과 불의 놀이란, 세계를 인식하는 동심의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어린 시절을 떠올려보면 이 말은 어렵지 않게 이해될 것이다. 우리에게는 예외 없이 흙과 불을 가지고 유희를 즐기던 시절이 있었다. 우리는 그것을 흙장난, 불장난이라고 불렀다. 세계를 구성하는 4원소의 상상력을 알려준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를 인용할 것도 없이, 우리는 흙을 만지고 불을 바라보며 세상의 일부를, 세상의 원형을 체감했던 것이다. 도예는 동심의 순정한 유희가 왜곡 없이 그대로 진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유년의 순수한 원체험이 스며 있는 도예는 그러므로 당연히 분쟁이나 다툼의 요소가 개입할 수 없다. 내가 도예에 평화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말한 또 다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데 전창현은 이것을 생래적으로 알고 있는 매우 영민한 작가다.

 

그렇다면, 전창현의 도예 작품을 들여다보자. 그의 작품에는 동심의 순정한 유희성이 매우 세밀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누구라도 금방 웃음을 머금게 된다. 그 웃음은 물론 작품 특유의 해학과 위트에서 오는 것일 텐데, 해학과 위트는 두말할 것도 없이 세계인의 공통언어다. 예술의 작동 방식이나 원리에 대해서 지금까지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예술이 슬픔을 정화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기능을 가졌다는 것은 매우 오랜 기원을 가지는 정설이다. 마음속에 풍랑처럼 이는 격정과 분노, 우울 등을 통제하고 극복하면서 평정과 안식을 안겨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예술작품의 작동 원리인 것이다. 전창현은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고 작품에 반영한다. 그의 작품이 갖는 해학과 위트는 엄숙하고 냉정하기까지 한 형식과 고전적인 절제를 통해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는 다른 도예 작품들과는 확연하게 구분된다. 다시 말해 여타의 다른 도예 작품들이 삼엄할 정도의 긴장을 유지하고 있다면, 그의 작품에는 이 긴장의 경직을 과감히 풀어낸 탈법의 여유와 평정의 안식이 있는 것이다.

 

그의 작품에는 말과 호랑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말과 호랑이는 유사 이래 인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말은 유용한 가축으로 인간의 생활에 여러 가지 이로움을 주었고 호랑이는 상징적인 맹수로서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여겨졌다. 사람들은 호랑이와 심리적 거리를 두면서 집촌의 문화를 만들어갔다. 전창현은 다소 이질적인 이 두 동물을 매우 노골적으로 작품에 끌어들여서 도예의 엄숙미를 창조적으로 해제한다. 전창현의 도예 작품 속의 말과 호랑이는 형태적으로 매우 희화화되어 있다. 신라시대의 토우를 연상시키는 단순미를 보여준다. 마치 어린아이들이 미적 욕망을 거세한 채 마구 주물러서 빚은 동물들 같은 것이다. 전창현은 이것을 미학적으로 재현한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이 동물들이, 항아리의 주둥아리를 깨물거나 뜯어내고 있는 것이다. 흙을 뜯어먹는 동물이라니, 이 얼마나 순한가. 이 얼마나 재밌는가. 우리는 이 천진함 앞에서 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는데, 사실 우리가 거창하게 원하는 행복이나 평화란, 우리가 웃는 순간 이미 풍요롭게 완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흙을 깨물거나 먹는다는 게 본질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좀더 섬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에서 흙은 세계를 구성하는 원형질의 하나라고 말했다. 샤머니즘의 통설을 들어 설명하자면 이러한 흙을 먹는다는 것은 자신을 정화하고 세계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행위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가브리엘 G.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에 등장하는 신비로운 소녀 ‘레베카’ 역시 흙을 자주 먹는데, 이것은 순정의 방식으로 아비규환으로 가득한 세속의 죄를 대속하면서 자신을 정화하고 세계를 받아들이는 상징적인 의미로 읽힌다. 그렇다면, 전창현의 작품 속 호랑이가 흙을 물어뜯는 것은 세계의 분쟁과 다툼에 대한 대속과 그 다음에 올 평화에 대한 작가의 무의식적인 발원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닐까. 호랑이라는 잔혹한 맹수가 흙을 뜯어먹는다는 작가의 상상력, 그리고 그것을 조형적으로 희화화해서 우리에게 보여주는 작가의 무구한 전략, 우리는 이것을 눈앞에서 목도하면서 절로 안식과 평화를 느낀다. 이처럼 그의 작품이 사람의 인식과 감정에 관여한다는 것은 그의 작품을 공예품이 아니라, 당당한 파인아트 작품으로 받아들여야 할 명백한 근거다.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이데올로기의 유산으로 분단되어 있는 한반도는 여전히 전쟁의 위협 속에 놓여 있다. 남북한은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가공할 병력과 무기로 대치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때에, 순일한 안식과 평화, 그리고 웃음의 코드가 만연한 전창현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은, 온전히 우리의 축복이다. 지금 우리 앞에 놓여 있는 전창현의 작품들은 그의 본성 자체가 평화와 안식에 깊이 가닿아 있음을 명료하게 증거하는 증물인 셈이다. 우리는 이 놀라운 증물을 통해, 인간이 본디 다툼이나 분쟁을 바라지 않고, 평화를 바라는 종족이었음을 새삼 상기하게 된다. 귀하고 고마운 일이다.

 

- 김도언(소설가)

bottom of page